경제 및 재테크/절약 노하우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 정리 - 국민행복카드 첫만남이용권 등

쯔깨비_ 2022. 12. 8. 12:47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 정리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 정리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도 결혼하고 자녀계획이 있다 보니 이런 정책을 계속 찾아보게 되더라고요.

2023년에는 출산지원금 혜택이 어떤 것이 있는지 정리하였으니, 출산 앞두고 계신 분들은 잊지 말고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국민행복 카드 - 100만 원 혜택

 

국민행복카드는 보육료, 유아학비, 건강보험 임신 및 출산 진료비 지원, 청소년 산모 임신 및 출산 의료비 지원,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등 정부에서 제공하는 여러 바우처 지원을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국민행복카드로 어린이집, 유치원 어디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발급 방법은 네이버에서 국민행복카드만 검색해보셔도 아래 사진처럼 발급 혜택 등이 상세하게 나와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 발급

국민행복카드를 통해서 임신 및 출산 바우처를 만드시면 100만 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부인과 진료 비용이나 출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연 48만 원 상당의 친환경농산물 꾸러미를 공급받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

매 주문 시 20%는 본인 부담이며, 월 4회 이내 회당 3만 원 이상 - 10만 원 이하 주문이 가능합니다. 주문은 지정 온라인몰에서 진행됩니다.

 

 

3. 첫 만남 이용권 - 200만 원

 

출산을 하면 첫 만남 이용권 바우처가 지급됩니다.

총 200만 원 상당의 바우처로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신청 방법은 아동 보호자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나 전용카드를 통해 지급된다고 합니다.

방문이 어려운 경우에는 복지로 또는 정부24 홈페이지에 방문하시면 온라인으로도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첫만남이용권

 

4. 영아 수당 - 30만 원

 

출생아 영아양육수당은 최고 30만 원이며, 2025년에는 최고 50만 원까지 확대된다고 합니다.

만 7세 미만에 지급되는 아동수당 (월 10만 원)과는 별개이며, 출생으로부터 생후 24개월 이내 아동에게 지급되는 수당이라고 합니다.

 

영아양육수당
출처 : 성낭복지이음

 

5. 부모 급여 - 35~70만원

 

23년생은 출생으로부터 11개월까지는 월 70만 원, 12개월 ~ 23개월은 월 35만 원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4년부터는 50~100만 원으로 급여액을 인상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부모급여

 

6. 출산장려금 지원

 

출생아 만 0세 ~ 5세까지 출생순위별 차등으로 지급되는 장려금으로 출생신고 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출산장려금은 2022년 첫만남이용권이 시작되면서 각 지자체 별로 지원하는 금액이 상이하다고 합니다.

아래 홈페이지로 이동하셔서 각 지자체별 출산장려금을 확인해보세요!

임신육아종합포털 홈페이지

 

임신육아종합포털 출산장려금

 

그 이외에도 북스타트 책꾸러미, 기저귀 바우처 등 아이를 위한 지원사업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 금리 상승으로 신협에 가입하신 분들도 많을텐데 신협에서는 출산 장려금도 지급한다고 합니다.

물론 조건을 충족해야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신협에 방문하셔서 자세하게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2023년 출산지원금 혜택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생각보다 다양한 혜택이 있는 만큼 잊지 않고 모두 챙기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출산을 앞두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과 공감,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