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뉴스 및 정보

공포와 탐욕의 지수 Fear & Greed Index

쯔깨비_ 2022. 4. 27. 23:33

 

공포와 탐욕의 지수가 공포 (Fear) 단계로 접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어제 나스닥은 장중 3.95% 하락이라는 꽤나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는데요,

저를 비롯한 대부분의 분들이 기술주, 성장주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셨기에 꽤나 뼈아픈 하루 였습니다.

 

 

이런 와중에 앞서 말씀드린 공포와 탐욕의 지수 (Fear & Greed Index)는 27이라는 수치를 기록하였는데요,

오늘은 CNN에서 제공하는 공포와 탐욕의 지수 (Fear & Greed Index)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공포와 탐욕의 지수 (Fear & Greed Index)란?

 

2022년 4월 27일 현지 시간으로 9시 25분 공포와 탐욕의 지수 입니다. 한국 시간으로는 장전인데요.

현재 27로 '공포'에 해당하는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식을 매수함에 있어 낙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상황인지, 비관적으로 생각해야 할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지표인데요,

CNN Money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총 7가지의 지표를 고려하여 산정합니다.

 

1) 시장 추이 (Market Momentum)

지난 125일 동안 S&P 500은 평균적으로 어떤 흐름을 보여왔는지를 보는 지표로서, S&P 500 움직임이 느릴 경우

공포와 탐욕 지수가 높아져 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주가 강도 (Stock Price Strength)

뉴욕 증권 거래소의 52주간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종목과 52주간 가장 낮은 가격을 기록한 종목의 수를 의미하는 지표입니다.

 

3) 주가 폭 (Stock Price Breadth)

수많은 종목 중 상승하는 종목과 하락하는 종목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양을 의미하는 지표입니다. 

거래되는 주식의 양이 적어질수록 '공포'에 가까워짐을 나타냅니다.

 

4) 풋 & 콜 옵션 (Put and Call Options)

풋 옵션의 거래량과 콜 옵션의 거래량을 비교하여 풋 옵션 / 콜 옵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5) 시장 변동성 (Market Volatility)

시장 변동성을 측정하는 VIX 지수, 그리고 50일 평균선을 나타냅니다. Vix 지수는 다른 포스팅에서 별도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6) 안전자산 수요 (Safe Haven Demand)

지난 20일 동안의 거래 기간 중 국채 대비 주식 수익률을 반영한 지표입니다.

 

7) 정크 본드 수요 (Junk Bond Demand)

투기등급 / 투자등급 채권 수익률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신용도가 높은 채권 대비 신용도가 낮은 채권 수익률 간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공포 심리에 가까워질수록 신용도가 높은 우량 채권에 투자하는 비중이 높아질 것이며, 이러한 경우 신용도가 낮은 채권과의 갭이 커지게 됩니다.

 

 

어려운 시간인 듯 합니다. 이럴 때 일수록 기술주 및 성장주 하락에 대비한 분산 투자가 정답이라는 생각이 드네요ㅠ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포와 탐욕 지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댓글과 공감,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