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및 재테크/연금저축 및 개인퇴직연금

연금저축펀드 5개월간 ETF 투자기록 _ 9월

쯔깨비_ 2021. 9. 27. 23:44

 

 

연금저축펀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듯 합니다.

이전보다 연금저축펀드에 관련된 글들이 정말 많이 보이는 것 같네요.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 각 상품의 장단점을 정리해보는 포스팅을 생각했었는데,

생각보다 정리가 안되더군요. 저도 아직 정확히 모르는 듯 합니다 ㅎㅎ

 

저는 연금저축보험 상품을 5년 정도 납입하다가.. 최근에 연금저축펀드를 알고 바로 이관을 했는데요,

연금저축펀드 투자를 시작한지 5개월 정도 되면서.. 왜 이걸 진작 펀드 상품으로 안했는지 후회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금저축 펀드는 무엇이고 장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제가 그간 수익률과 투자한 ETF 종목을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매달 어떻게 변화하는지 배당주와 마찬가지로 좀 기록을 해보려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투자에 관심있으신 분들이라면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연금저축펀드란?

 

연금저축 상품은 크게 펀드, 보험으로 나누어집니다.

연금저축보험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납입하는 금액에 대해 원금보장이 가능한 상품으로 주로 안정성을 추구하시는 분들이 선택합니다.

반면에, 연금저축펀드는 원금이 보장되진 않지만 원하는 상품에 투자할 수 있으며, 중도 인출 또한 가능합니다.

 

 

연금저축펀드 장점?

 

1.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혜택

 

세액공제 혜택은 연금저축 투자 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베네핏이 아닐까 싶습니다.

1년에 총 400만원을 납입 시 연소득 5,500만원 이하인 경우 16.5%에 해당하는 66만원,
연소득 5,500만원 이상인 경우 13.2%에 해당하는 52만 8천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한달에 33만원을 납입하게 되면 1년이면 396만원입니다.
세액공제를 100% 받으시려는 분들은 한 달에 33만원을 분할 납입하시거나

혹은 목돈이 생겨 한 번에 납입하시면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과세이연

 

예적금이 만기되거나 배당금을 받아보신 분들이라면 항상 금융소득세 지불로 15.4%가 제외된 금액을 수령하신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그러나 연금저축펀드는 동일하게 투자를 진행하더라도 금융소득세가 이연 됩니다.

이연된 금융소득세는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시 연금 소득세인 3.3~5.5%만 납부하면 됩니다.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수익이 발생하더라도 금융소득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수익을 다시 재투자하여 더 큰 투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더 큰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3. 원하는 상품에 투자

1번을 가장 큰 베네핏이라고 뽑았지만..

제가 결정적으로 연금저축보험에서 연금저축펀드로 이관을 한 이유가 바로 3번입니다.

보험사에서 운용하는 것을 믿고 기다리는 것이 아닌, 원하는 ETF 상품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였습니다.

 

기준점 혹은 기간마다 다르지만 S&P 500 평균 수익률이 약 8%.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만큼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 바로 연금저축펀드로 이관하였습니다.

 

연금저축펀드 투자금 및 투자종목

5년 가까이 연금저축보험을 넣으면서 납입한 금액은 약 1300만원이었습니다.

이관 과정에 -가 되며.. 마음이 너무 아팠지만

장기적으로 잘 굴려보자는 마음을 갖고 투자할 ETF 종목들을 살펴봤습니다.

현재 투자하고 있는 연금저축펀드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XX 중국.. ㅠㅠ

전체적으로 중국 주식 제외하면 괜찮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체 수익률로 계산해보면 11.3% 정도 나오더라구요.

연평균 10%만 기록해도 너무 좋을 것 같았는데.. 이대로 연말까지 더도말고 덜도말고 10%대만 유지해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각 종목에 대해서는 별도 포스팅을 통해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를 모르시는 분들, 혹은 연금저축펀드 가입은 되어 있는데 ETF 투자를 망설이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과 공감, 구독은 큰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