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우려가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
금일은 국내 증시가 하락한데 이어 미국 장단기 금리차가 40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전해지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 침에 용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물가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계속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이전에는 통화 팽창이라고 보았으나, 최근에는 물가수준의 지속적 상승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고 합니다.
화폐가치가 줄어들면서 실직 소득이 감소되고, 금리가 상승하면서 투자가 전반적으로 위축됩니다.
또한, 물가 상승에 따라 수출 가격이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수입 가격은 상대적으로 하락하면서 수출이 줄고 수입이 늘어남에 따라 경상수지가 악화됩니다.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물가를 낮추어 가계 부담을 덜기 위해 금리가 상승하기 때문에 개인은 실물자산, 혹은 주식자산에 투자하기 보다는
금리가 높은 예금이나 적금에 투자를 하는 것이 좀 더 안정적인 투자 방법 혹은 인플레이션 대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은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한 부문이 아닌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입니다.
통화량이 축소되면서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으로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혹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그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소비가 정체되면서 은행을 포함한 기업들이 도산하고, 실업자 증가 및 주가 하락 등 연쇄적으로 경제 전반적으로 하락이 진행됩니다.
스테그플레이션
경제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 입니다.
현재 시기를 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하는데, 저는 현재 시기가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인 것 같기도 합니다.
미 펀드매니저 92%가 내년 스태그플레이션을 예상하고 있다는 기사도 봤습니다.
경기 상황도 좋지 않고, 물가는 높은데 실업률까지 높은 상황으로 최악의 경제상황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내년 경제 상황이 더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들게 만드네요 ㅠ
살기 참 힘든 상황인 듯 합니다 ㅎㅎ 모든 분들 힘내시기 바랍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과 공감,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