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국내 전기차 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으며, 최근 테슬라에서 보조금 정책에 맞춰 모델 Y, 모델 3의 가격을 인하하면서
많은 분들이 2021년에 책정된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 관심을 가지시는 듯 합니다.
재테크 블로그에 좀 맞지 않는 종류의 글이긴 하지만,
저도 테슬라 투자자로써 이러한 정책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하였고,
전기차 섹터에 투자하고 있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정리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1년 전기차 보조금 기준과 각 지자체별로 어느 정도의 보조금을 지급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기준
전기 버스, 화물, 이륜에 대한 보조금 기준도 나왔지만,
아무래도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부분은 승용차 일 것 같은데요.
전기 승용차의 보조금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테슬라는 최근 모델 S Long Range와 모델 Y Standard의 가격을
59,900,000으로 인하하면서 국내 보조금 지급 기준에 맞춰 가격을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구분 | 보조금 지급 |
6,000만원 미만 | 100% 지급 |
6,000만원 ~ 9,000만원 미만 | 50% 지급 |
9,000만원 이상 | 0% 지급 |
차종별 전비와 국고보조금
구분 | 제작 및 수입사 | 차종 | 가중연비(km/kWh) | 가중거리(km) | 국고보조금 지원액(만원) |
승용차 | 현대 | 코나 (기본형, PTC) | 5.27 | 381.75 | 800 |
코나 (기본형, HP) | 5.46 | 395.70 | 800 | ||
코나 (경제형) | 5.42 | 237.75 | 690 | ||
아이오닉 (HP) | 5.92 | 260.50 | 733 | ||
아이오닉 (PTC) | 5.84 | 256.75 | 701 | ||
기아 | 니로 (HP) | 5.17 | 375.88 | 800 | |
니로 (PTC) | 5.02 | 364.50 | 780 | ||
르노삼성 | ZOE | 4.61 | 290.75 | 702 | |
한국GM | 볼트 | 5.08 | 353.98 | 760 | |
BMW | i3 120Ah | 4.92 | 226.00 | 341 | |
테슬라 | Model S (Long Range) | 4.11 | 465.70 | - | |
Model S (Performance) | 4.09 | 466.85 | - | ||
Model 3 (Standard) | 5.23 | 317.28 | 684 | ||
Model 3 (Long Range) | 4.52 | 402.85 | 341 | ||
Model 3 (Performance) | 4.24 | 373.80 | 329 | ||
재규어 랜드로버 |
I-PACE | 3.22 | 306.50 | - | |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 |
EQC 400 | 3.10 | 299.20 | - | |
아우디폭스 바겐코리아 |
e-tron 55 quattro | 4.27 | 306.80 | - | |
한불모터스 | Peugeot e-208 | 4.27 | 236.75 | 649 | |
DS Crossback E-tense | 4.07 | 224.50 | 605 | ||
Peugeot e-2008 SUV | 4.07 | 224.50 | 605 | ||
쎄미시스코 | SMART EV Z | 5.64 | 145.93 | 639 | |
초소형 | 르노삼성 | TWIZY | - | - | 400 |
대창모터스 | DANIGO | - | - | 400 | |
케이에스티 일렉트릭 |
마이브 M1 | - | - | 400 | |
캠시스 | CEVO-C | - | - | 400 |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
1. 보급사업 공고 (각 지방자치단체)
2. 전기자동차 구매계약
3.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 (구매자 또는 자동차 제작 및 수입사가 지방자치단체에 신청)
4.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대상자 선정 및 통보 (지방자치단체 (출고/등록순 추첨,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순 중 택일)
5. 차량 출고 및 등록 (2개월 이내 원칙, 자동차 제작 및 수입사 -> 구매자)
6.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신청 및 접수 (출고 및 등록 후 10일 이내, 자동차 제작 및 수입사 -> 지방자치단체)
7. 보조금 지급 (14일 이내 원칙, 지방자치단체 -> 자동차 제작 및 수입사)
** 구매자는 차량구매대금과 보조금의 차액을 자동차 제작 및 수입사에 납부하고 자동차 제작 및 수입사는
지방자치단체 (국비보조금 + 지방비보조금)로부터 보조금 수령
각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및 담당부서
구분 | 지방보조금(만원) | 보급대수 | 부서명 | 전화번호 |
서울 | 400 | 10,000 | 기후변화대응과 | 02-2133-3641 |
부산 | 500 | 3,200 | 기후대기과 | 051-888-3556 |
대구 | 450 | 5,100 | 미래형자동차과 | 053-803-6371 |
인천 | 420 | 4,500 | 에너지정책과 | 032-440-4357 |
광주 | 500 | 2,000 | 대기보전과 | 062-613-4341 |
대전 | 700 | 3,200 | 미세먼지대응과 | 042-270-3183 |
울산 | 550 | 2,200 | 환경보전과 | 052-229-7593 |
세종 | 300 | 1,000 | 환경정책과 | 044-300-4253 |
경기 | 400~600 | 11,400 | 미세먼지대책과 | 031-8008-4241 |
강원 | 520 | 2,900 | 에너지과 | 033-249-2939 |
충북 | 800 | 3,000 | 기후대기과 | 043-220-4326 |
충남 | 700~1000 | 3,500 | 푸른하늘기획과 | 041-635-2743 |
전북 | 900 | 3,300 | 자연생태과 | 063-280-4188 |
전남 | 720~960 | 3,500 | 기후생태과 | 061-286-7051 |
경북 | 600~1,100 | 3,700 | 환경정책과 | 054-880-3531 |
경남 | 600~800 | 6,500 | 기후대기과 | 055-211-6693 |
제주 | 400 | 1,000 | 저탄소정책과 | 064-710-2612 |
합계 | - | 70,000 | - | - |
각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과 보급대수를 정리했습니다.
지자체별 기준이나 예산은 변동될 수 있으니 각 지자체별 담당부서와 번호를 확인하시고,
개별 연락을 통해서 한 번 더 체크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지금까지 2021년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과 각 지자체별 보조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과 공감,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