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및 재테크/뉴스 및 정보

2023년 공무원 연봉표 보수 및 수당 알아보기

쯔깨비_ 2023. 1. 30. 20:19

2023년 공무원 연봉표와 보수 및 수당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전에 직장인 기준 연봉 실수령액을 확인하는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무원 보수와 수당까지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연봉 실수령액 구간별 연봉 실수령 확인하기

2023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 표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을 표로 정리해봤습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도 포스팅을 했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보러 오시더라구요. 직장인 분들은 해가 바뀔 때마

oh-freedom.tistory.com

 

2023년 공무원 연봉표

 

 

2023년 공무원 연봉표

일반직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의 연봉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3년 공무원 연봉표

 

공무원 연봉 인상률

 

2023년에 관리직급인 4급 이상 공무원은 보수를 동결하며, 5급 이하 공무원의 보수를 1.7%를 인상한다고 합니다.

또한, 장・차관급 이상 정무직 공무원은 사랑 나눔 실천에 솔선수범하여 동참한다는 취지로 연봉의 10%를 기부한다고 합니다.

 

 

올해 9급 초임(1호봉) 보수만 최저임금 인상률인 5%만큼 인상한다고 하는데요,

공통인상분인 1.7%에 추가인상분 3.3%를 적용하여 최저임금인상률인 5%를 인상한다고 합니다.

 

또한, 8급 및 9급 공무원의 직급보조비를 2만원 인상하며, 6급 이하 실무직 공무원의 직급보조비를 개선한다고 합니다.

 

직급보조비 인상 2022 2023
6급 17.5만원 18.5만원
7급 16.5만원 18만원
8・9급 15.5만원 17.5만원

 

 

 

공무원 보수 계산

 

공무원의 보수는 봉급(기본급)과 수당 등(18종)으로 구성됩니다.

 

봉급 : 직책별로 지급되는 기본급여 혹은 직무의 책임 정도 및 재직기간에 따라 계급 및 호봉별로 지급되는 급여를 의미합니다.

참고로 직종별로 11개 봉급표가 있습니다.

수당 : 직무 여건 및 생활여건에 따라 지급되는 부가 급여로 크게 수당과 실비변상으로 구분합니다.

 

(1) 수당

  • 상여수당 (3종) : 대우공무원수당 (월봉급액의 4.1%) / 정근수당 (월봉금액의 0~50%, 연 2회) / 성과상여금 (지급기준액의 0~172.5%, 연 1회 이상)
  • 가계보전 수당 (4종) : 가족수당 (배우자 월 4만, 기타부양가족 월 2만 원, 4인까지)
    • 자녀 : 첫째 (월 2만원), 둘째 (월 6만 원), 셋째 이후(월 10만 원)
  • 재외공무원 자녀학비보조수당 (국외 유, 초, 중, 고 취학 자녀의 학비)
  • 주택수당 (하사 잇아 중령 이하 군인 월 8만 원, 재외공무원 공관 소재 주택 임차료)
  • 육아휴직수당 (월봉급액의 80%, 상한 150 ~ 하한 70만 원)
    • 두 번째 육아휴직수당 첫 3개월은 월봉급액의 100% (상한 250만 원)
  • 특수지근무수당 : 도서, 벽지, 접적지, 특수기관 근무자 (월 3~6만 원) 등
  • 특수근무수당 : 위험근무수당 (위험직무 종사자, 월 4~6만 원) / 특수업무수당 (특수업무 종사자) / 업무대행수당 (육아 휴직자의 업무대행, 월 20만 원) / 군법무관수당 (월봉급액의 35% 이하)
  • 초과근무수당 : 초과근무수당 (5급 이하 공무원 시간 외 근무, 야간근무, 휴일근무) / 관리업무수당 (4급 이상 공무원, 월 봉급액의 9%)

(2) 실비변상 등

  • 정액급식비 (월 14만 원)
  • 직급보조비 (8,9급 15.5~1급 75만 원)
  • 명절휴가비 (월봉급액의 60%, 설날 및 추석)
  • 연가보상비 (1급 이하, 연가보상일수는 20일 내)

 

 

 

지금까지 2023년 공무원 연봉표 및 기타 수당 항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추천 글>

 

 

2023년 건강보험료 인상, 직장 및 지역가입자 인상율

2023년 건강보험료가 인상된다고 합니다. 정말 월급 빼고는 다 오르는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에 인상된 건강보험료가 지역가입자 및 지역가입자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지 등을

oh-freedom.tistory.com

 

 

퇴직연금 DC형과 DB형 차이, DC형 증가 이유

퇴직연금 DC형 가입자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코로나 이후 상승 증시를 경험해 본 개인이 퇴직금을 투자하여 불리기 위한 목적으로 가입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업이 DC형을 선호하

oh-freedom.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