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 중 하나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내년에 정식으로 시행하기 전에 기간 및 금액이 수정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에 진행될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조건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청년이 대상이며,
개인소득은 연 6000만원 이하 혹은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청년을 대상합니다.
2023년 중위소득 | 100% | 180% |
1인가구 | 2,077,892 | 3,740,206 |
2인가구 | 3,456,155 | 6,221,079 |
3인가구 | 4,434,816 | 7,982,669 |
4인가구 | 5,400,964 | 9,721,735 |
5인가구 | 6,330,688 | 11,395,238 |
6인가구 | 7,227,981 | 13,010,365 |
청년도약계좌 혜택
개인납입금을 월 40만원 ~ 70만원을 납입할 경우 정부지원금으로 개인 납입액의 3~6%가 지원됩니다.
정부지원금은 개인 및 가구 소득이 낮을 경우 본인 납입금의 6% 적용, 소득이 높은 경우 3%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은행이자는 시중은행 적금 및 가산금리가 적용되며, 세금은 비과세 처리가 됩니다.
최대 개인납입금인 월 70만원을 납입할 경우 5년 만기 후 약 5,000만원 수령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70만원씩 5년 5% 이자의 적금을 들었을 때를 예로 들어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70만원의 6%를 추가한 74만 2천원을 5년 만기 적금할 경우 약 500만원 정도의 금액이 추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본 적금 금리에 정부지원금이 가산되기 때문에 5년 뒤면 약 5000만원 정도의 목돈이 마련이 되는 것이겠죠.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시행시기는 내년 6월 말부터 진행된다고 합니다. 구체적인 신청 기간은 아직 발표되지 않은 듯 합니다.
사실 5년이 짧은 기간은 아닙니다.
다만, 목돈을 마련하는데 있어서는 나쁘지 않은 정책으로 보여집니다.
청년도약계좌 관련해서 더 상세한 내용이 내년에 발표된다면 다시 한번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과 공감,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