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웨이브 (Blue Wave)에 관해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블루 웨이브 뜻은 무엇이고, 블루 웨이브로 인해 수혜를 받는 관련주도 정리해봤습니다.
미국 주식 투자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블루 웨이브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2021년 1월 20일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일이 다가옴에 따라 블루 웨이브나 조 바이든 대통령 공약 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블루 웨이브와 블루 웨이브를 통해 수혜를 입을 분야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블루 웨이브 뜻
블루 웨이브는 민주당의 힘이 강하여 미국 의회, 상 하원을 동시에 장악하는 추세 혹은 시나리오를 지칭합니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 연방 상원의원 결선 투표를 통해 백악관과 하원에 이어 상원까지
민주당이 장악하면서 블루 웨이브라는 단어가 이름을 알려졌습니다.
반대로 공화당이 장악하는 추세라면 레드 웨이브(Red Wave)라 합니다.
조지아주에서 상원의석 2석을 민주당이 차지하면서 동석을 이루었고,
상원의원이 동석일 경우 부통령이 상임의장을 선임하게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민주당이 상원의원에서 51석, 공화당이 50석을 확보하였고,
하원의원의 경우 민주당 221, 공화당 211, 공석 2,
대통령은 민주당의 바이든이 되면서 블루 웨이브 상태가 된 것입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없게 된거죠.
결국 바이든 대통령이 공약한 정책들에 주목할 수 밖에 없습니다.
바이든 공약
블루 웨이브를 통해 수혜받을 분야는 곧 바이든 대통령이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정책 방향과 맞닿을 수 밖에 없습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해보면
1. 법인세 및 개인소득세
- 법인세 : 현행 21%에서 28%로 인상
- 개인소득세 : 최고세율 39.6% 재도입
2. 노동
- 최저임금 시간당 $15로 인상
3. 환경 및 인프라
- 4년간 $ 2조 달러 투자
- 탄소배출 제거
- 태양광 패널 5억장, 풍력발전기 6만개 설치
4. 첨단기술
- 5G, Ai 등 4년 간 3000억 투자
5. 6000억불 (약 655조) 규모의 추가 부양책
- 부양정책 및 재정지출을 통한 국채 발행
6. 헬스캐어
- 오바마케어 개선
추가로 독과점 규제(반독점법)가 있습니다.
독점적 위치에 있는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으로,
주로 빅테크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 애플, MS 등) 기업들이.. 규제 대상일 것으로 보입니다만,
최근 바이든 행정부가 경기 회복이 진행 될 때까지 독과점 규제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기에,
좀 더 지켜봐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블루 웨이브 수혜 분야
친환경 (태양광/풍력/전기차/수소차)
탄소배출 규제, 환경 및 인프라 쪽 투자 쪽에 힘을 싣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 풍력 쪽 기업들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전기차와 수소차가 있습니다. 미국 민주당은 2030년까지 6300만대의 내연기관차를 친환경차로 교체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친환경차로 교체하거나 구매할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친환경차 비중을 늘리는 데에
힘을 쏟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차 제조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기업들도 역시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프라
사회기반시설에 적극적으로 자금을 투자함으로써 사회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건축, 엔지니어링 쪽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오바마케어' 정책을 이어받아 극빈층에 연방 정부와 주 정부가 공동으로 의료비 전액을 지원하는 등
헬스케어 분야도 성장성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테마주에 투자하진 않습니다.
위에 언급된 분야에서 투자하고 있는 분야는 전기차 뿐이겠네요.
다만, 바이든 대통령이 공약으로 힘을 싣는 친환경 분야와
5G, AI 등의 분야는 꼭 정치적인 수혜를 받지 않더라도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2021년 코로나 백신이 공급됨에 따라 긍정적인 전망이 기대되는 가운데,
정책적인 수혜를 통해 조금 더 성장 속도를 낼 수 있는 분야 혹은 기업에 투자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 정리해봤습니다.
오직 정책적인 수혜만을 보고 투자하는 것이 아닌 플러스 요인으로 고려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각 수혜 분야 중
국내 및 해외 주요 기업들을 선정해서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및 공감, 구독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